본문 바로가기
Investment Story/금융공학 - 파이썬

6. 파이썬의 변수 및 데이터 타입

by 자꿈두(FDiD) 2020. 5. 7.
반응형

안녕하세요, 자꿈두입니다.

금일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에서 쓰이는 변수와 데이터 타입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변수(Variable)란?

사용자가 필요한 값을 어떤 곳에 저장을 해두어야 필요할 때

호출해서 값을 사용하고 연산이 끝난 뒤에 저장을 할 장소가 필요하겠죠?

우리는 이 장소를 메모리라고 부릅니다. 

근데 사람도 각자 살 집이 있는 것처럼, 데이터도 각자 저장될 공간이 필요하겠죠. 

이를 할당하기 위해 지정하는 것이 변수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변수에 '1'이라는 값을 집어 넣을 수 있는 것이죠.

변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파이썬에서 정해주는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변수명을 정할 때 지켜야 할 규칙

  • 변수명은 영어 대소문자, 숫자, _(언더 바)로 구성이 가능합니다. 단 시작을 숫자로 할 순 없습니다.
  • 대소문자를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대소문자를 구별합니다.
  • 파이썬의 키워드로 사용되고 있는 단어는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Ex. for, if, while, and, or 등)
  • 특수 문자는 _(언더 바)를 제외하고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변수의 할당 및 삭제

변수는 등호(=)를 사용해서 값을 할당 할 수 있고, 동시에 해당하는 변수가 생성됩니다. 

>>> x = 1

이라는 명령을 실행하면,

파이썬은 x라는 변수를 생성 하고 해당 하는 변수에 1이라는 값을 할당하게 됩니다. 

즉 생성과 할당이 동시에 이루어지죠. 

생성한 변수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 할당된 값도 같이 삭제되게 되죠. 

삭제는 del이라는 함수를 이용하면 됩니다. 

>>> del x

위 명령을 실행하면 생성된 x라는 변수와 1이라는 값은 삭제되게 되는 것이죠.


데이터 타입

파이썬은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 언어입니다.

동적 타이밍 언어라는 말은 명령문이 실행 될 때 변수의 데이터 타입이 정해진다는 의미입니다. 

변수를 할당할 때 변수가 생성된다고 이야기 했었죠?

그 때 같이 데이터 타입도 정해진다는 의미입니다.

>>> x = 1

이라는 명령을 실행한다면,

x라는 변수가 생성되는 동시 1이라는 값이 x에 할당된다고 했었죠.

이와 동시에 1은 정수형태이므로 x의 데이터 타입은 int(정수) 타입으로 결정되는 것입니다.

 

파이썬에는 아래와 같은 데이터 타입이 있습니다. 

  • int : 정수형 데이터
  • float : 실수형 데이터
  • complex : 복수수형 데이터
  • bool : 부울형 데이터 (True, False)
  • str : 문자열 데이터
  • list : 순서가 있는 값의 집합 데이터
  • tuple : list와 같지만 읽기 전용인 데이터
  • set : 순서가 없는 값의 집합 데이터
  • dict : key와 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한 번 정해진 데이터 타입을 물론 바꿀 수 있습니다. 

x라는 변수를 실수형으로 변경하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 float(x)

즉, 변환하고 싶은 데이터 타입을 앞에 쓰시고 () 안에 해당하는 변수를 입력하면 됩니다.


이상 오늘 공부를 마치겠습니다. 

오늘도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