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 2025년 4분기 출시계획

2025. 4. 3. 01:55생활이야기/두바이 이야기

반응형

요즘 금융계에서 심심치 않게 들리는 이야기는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입니다. 쉽게 말해, 각 나라의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형태의 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마치 우리가 쓰는 지폐나 동전처럼 법정 통화로 인정받는다는 점이 기존의 암호화폐랑은 다릅니다. 제가 거주하고 있는 UAE가 2025년 4분기에 '디지털 디르함'이라는 자체 CBDC를 발행한다고 하여 이야기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UAE는 이미 중동의 금융 허브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고, 이번 디지털 디르함 도입은 허브의 자리를 쉽게 놓아주지 않으려는 움직임 중에 하나로 보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들이 디지털 통화 발행에 눈독을 들이고 있는 상황에서, UAE의 발 빠른 행보는 디지털 금융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고 미래를 대비하겠다는 의지를 확실히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디지털 디르함이 도입되면 UAE의 금융 시스템이 훨씬 스마트해지고, 더 많은 사람들이 편리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디지털 경제 성장에도 가속화를 이끌 것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CBDC에는 어떤 효용이 있을까?

UAE 중앙은행이 밝힌 바에 따르면, 디지털 디르함은 꽤나 야심찬 목표들을 가지고 태어날 예정입니다. 가장 큰 목표 중 하나는 바로 지금보다 훨씬 빠르고 편리한 결제 시스템을 만들고, 은행 문턱이 높았던 사람들도 쉽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금융 포용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디르함은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혹시 모를 위기에 대한 회복력을 키우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 합니다. 또,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해서 돈의 흐름을 투명하게 만들어 불법적인 자금 이동을 막는 역할도 기대하고 있고요, 디지털 디르함이라는 블록체인 기술 위에 혁신적인 금융 상품과 서비스가 탄생하는 것을 기대하고 거래 비용은 떨어지면서 해외 시장 진출이 훨씬 쉬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존재합니다.

 

UAE에서는 이미 현금 사용량이 타국가에 비해 굉장히 적습니다. 디지털 디르함은 현금 없는 사회에 다가가고 있는 UAE에서 키 역할을 할 것이라 믿습니다. 토큰화 기술을 활용해 여러 자산을 더 작은 단위로 쪼개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들고, 스마튼 계약 기능을 넣어 복잡한 거래도 자동으로, 즉시 처리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된다면 누구나 쉽게 투자에 참여하고, 여러 단계와 여러 사람이 얽힌 복잡한 거래도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게다가 디지털 디르함은 모든 결제 채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법적인 지위까지 확보될 예정입니다.


달러화와의 페깅

UAE 디르함은 1997년부터 미국 달러에 3.6725 AED / USD라는 고정 환율로 페깅이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환율을 고정해 놓으면 나라 간 환 변동 리스크가 줄어들어 무역하기가 편해지고 경제도 안정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특히 석유 수출을 주로 하는 UAE 경제에서 달러 페그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환율이 안정되면 상품 가격 변동도 줄어들고, 수출로 벌어들이는 돈도 꾸준해지니 경제가 예측 가능해지고, 투자자들도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게 됩니다. UAE 중앙은행은 이 페깅을 유지하기 위해 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합니다.

 

디지털 디르함 역시 미국의 달러와 페깅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중앙은행은 디르함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달러와 기타 자산으로 구성된 준비금을 보유하며, 이는 CBDC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입니다.


이미 CBDC를 출시한 나라들의 예

지금까지 바하마(샌드 달러), 동카리브해 중앙은행(DCash), 나이지리아(e-나이라), 자메이카(JamDex), 중국(디지털 위안), 러시아(디지털 루블), 인도(디지털 루피)등 이미 여러 나라에서 CBDC를 세상에 내놓았습니다. 유로존과 영국 및 홍콩 같은 곳들은 지금 CBDC를 시험 운행하는 단계에 있다고 합니다. 각 나라마다 금융 포용성을 높이거나, 결제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거나, 통화 정책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CBDC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런 먼저 시작한 나라들의 경험은 UAE에게 아주 소중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바하마 샌드 달러는 미국 달러에 페깅되어 있지만 인프라 문제와 사용자의 경험 등의 이유로 사용량이 적다고 합니다. 나이지리아의 CBDC 역시 사람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인프라 문제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성공적인 CBDC를 만들려면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위험 관리를 철저히 하고, 튼튼한 기술 기반을 마련하고, 법적인 문제도 챙기고, 사람들에게 광고 효과 역시 중요합니다. UAE는 다른 나라들의 CBDC 도입 사례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미리 파악하고 준비를 해야 할 것입니다. UAE의 많은 것들이 이미 디지털화가 된 만큼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잘할 것을 기대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