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6

양적완화 안녕하세요 자꿈두입니다. 오늘은 최근 많이들 듣는 용어 양적완화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양적완화, 뉴스에서 보면 미국이 양적완화를 한다. 일본이 양적완화를 한다. 많이들 들으시죠?양적완화가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많이들 중앙은행에서 돈 찍는거야라고 대답합니다. 그러나 정확히 돈을 찍어서 어떻게 공급하는지 물어보면 대답 못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더라고요.물론 저도 꽤 오랜기간 막연하게만 생각했지 깊게 생각해본 적은 비교적 최근입니다. 그런데 이게 알고보니 자본주의에 참여하는 경제인이라면 반드시 알고가야하는 개념이더라고요.그래서 이렇게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양적완화의 의미는 돈을 찍어서 푸는 것. 맞습니다. 그런데 그냥 돈을 찍어서 아무한테나 막 줄 순 없자나요?저도 돈을 중앙은행한테 돈을 받아본.. 2020. 4. 28.
2. Anaconda 설치 안녕하세요. 자꿈두입니다. 파이썬을 공부하기 위해 Anaconda(아나콘다)라는 개발 플랫폼을 이용하고자 합니다. 비전공자라면 개발 플랫폼이란 말이 생소할 수 있는데요.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 플랫폼 또는 개발툴이라고 보통 표현합니다. Anaconda 이외에도 Pycharm, Eclipse 등 많습니다. 제가 아나콘다를 이용해서 공부하려는 이유는요 금융에는 파이썬과 R 프로그래밍이 적합하고, 아나콘다라는 플랫폼은 바로 이 두 언어를 잘 서포트합니다. 아나콘다 배포판에는 이미 수준 높은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어요 이 말은 사용자가 번거로울 수 있는 일들을 덜어준다는 것이고요 또 가상환경 관리자를 통해 물리적 하나의 컴퓨터를 가지고 다수의 논리적 가상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아나콘다 설치.. 2020. 4. 27.
가치투자와 거시경제 가치투자의 대명사 바로 오마하의 현인 워렌 버핏입니다.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가장 존경하는 인물 중 단연 첫 번째로 거론되는 사람입니다. 버핏은 특히 기업의 내재 가치를 거시경제보다 더욱 중요시 하는데요. 또 버핏은 시장투자자들에게 거시경제에 너무 휘둘리지 말라는 조언을 합니다. 일반투자자는 시장수익률을 이길 수 없다는 말도 유명합니다. 그래서 버핏은 'Bottom-up' 방식의 투자방식을 선호합니다. 거시경제환경이 아닌 기업을 분석하고 그 분석을 토대로 투자를 진행하는 방식이죠. 저는 여기에 의문을 던집니다. 국내투자자들도 워렌 버핏처럼 거시경제를 무시한 채 기업에만 집중할 수 있을까? 오랜기간동안 생각한 끝 내린 결론은 'No' 입니다. 미국이라는 나라는 건국 이래로 거시경제가 지속해서 성장해왔습.. 2020. 4. 25.
1. 파이썬과 금융 퀀트라는 용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투자자들에게 퀀트(Quant)라는 용어가 이제는 모두에게 그리 생소한 용어는 아닙니다. Quantitative와 Analyst라는 용어가 합성되서 만들어진 합성어인데요. 이들은 IT 산업 발전과 함께 컴퓨터를 금융에 활용하여 투자모델을 만들거나 금융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장을 예측하기도 합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도 금융과 IT는 뗄 수 없는 관계로 성장할 것입니다. 핀테크(Fintech)라는 이름으로 말이죠. 이미 은행과 증권거래소는 적극적으로 IT 기술을 도입하여 대부분 전산으로 처리하는데 이게 무슨 이야기인지 이해가 잘 안가시는 분이 계실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금융산업에서 IT 기술은 편의를 위한 조력자 역할을 했을 수 있지만 다가올 핀테크의 시대에는 IT 기.. 2020. 4. 22.